티스토리 뷰


한국은 경기불황 대비 탈출 탄력성은 최고다.!! IMF도 금방 극복함


2000년대 들어서 수출주도형 경제가 됨 -> 기업의 공이 크다 제조업 중심임


2009년에 한국의 전세계 교역비중이 높다. 

- 신흥국 시장 교역 비율이 높다

- 위기시 극복 능력이 뛰어나다


2000년에서 2008년 한중 무역량이 8배 증가함

우리나라와 일본은 수입과 수출중 수입이 3배 많다


영국 대학생들이 제일 취업 많이 하는 분야 : 외국 영어학원 강사, 제조업이 영국은 붕괴됨


전세계에서 한국경제의 무역의존도(GDP 대비 수출비중)가 제일 높다. : 한국 무역의존도 100%, 일본30%, 독일70%


<수출호조원인>

1. 상품경쟁력 

- 장치산업위주로 대규모 시설투자 필요한 한국의 5대산업 : 자동차, 철강, 조선, 반도체, 석유화학 비중이 높다

예) 대만은 중소기업 위주이지만 우리나라는 대기업위주이다. -> 재벌과 국가가 결탁함 -> 국가가 재벌을 비호해줄 여러 제도를 만듬


2. 환율정책 : 정부의 고환율 정책 실시

- 가계는 힘들지만 기업은 수출하기 좋다.


3. 중국특수

- 아시아 수출비중 : 70%

- 유럽 : 20%

- 미국 : 10%

* 따라서 앞으로는 아시아 전문가가 필요함


<한국 수출의 위기상황>

1. 환율 : 저환율시기가 오면 한국 경제는 어렵다.

- 환율의 변동성이 취약하다

- 원화가 평가절상되는 추세이다.

- 한국은 외식비가 싸다.

* 앞으로는 고평가된 엔화가치가 떨어지고 원화가치는 상승할 것이다.


2. 세계적 공급과잉

공급과잉률: 자동차 57%, 석유화확 : 17%, 철강 : 37%, 조선: 14%, 반도체 : 6%


3. 수출올인, 내수부진의 지속

- GDP : 민간소비 + 민간투자 + 정부지출 + 순수출(수출-수입)

그러나 GDP의 대부분이 수출이다. 내수가 취약하다. 한국은 중기업이 없다 -> 대기업은 투자할 곳(신수종사업)이 없다. -> 대기업의 현금보유율이 높아지고 있다.


4. 위기의 중소기업

- 제조업 부문의 중소기업 비중 상승 추세 둔화이다.

- 상대생산성(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생산성)이 계속 떨어지는 추세이다. 중소기업 어렵다.

- 상대임금도 떨어진다.


<내수가 어렵다.>

- 대표적인 분야가 건설업

- 상위 100대 기업중 28개 기업이 워크아웃임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