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리스토텔레스>

- 라파엘로 그림 - 아테네 학당에 나옴

- 관계도 : 소크라테스(제자) -> 아리스토텔레스(제자) -> 플라톤 (스승)

- 목적(텔로스)적 존재론 => 유기체적 사고 = 세상 = 사회 -> 모든 것은 존재의 목적이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덕의 가치는 변할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은 "반복"을 통해서 습관이 될 때 내면화되면 행복해질 수 있다.

- 공자의 정명론과 유사(신하는 신하답고 임금은 임금다운 것) 


샌달: 사회를 바라볼 땐 목적론적 사고가 유효하다.


<플라톤>


미덕   유기체                사회               정의

지혜 - 머리                    통치계급          지혜

용기 - 가슴                    무사계급          용기

절제 - 배                       생산계급          절제

=> 플라톤의 4주덕, 미덕(Arete)


- 플라톤은 4주덕(정의, 지혜, 용기, 절제)를 가졌을 때 비로소 이데아로 갈 수 있다.

- 초인, 철인

- 통치계급은 사유재산을 못 가지게 함

- 생산계급이 지혜로운 것을 싫어함, 각 계급이 맞지 않는 정의를 가지는 것을 싫어함 -> 보수주의자


샌덜의 공동체주의의 원류는 아리스토텔레스이다.


바이올린(비싼것) 

- 공리주의자 : 최대다수에게 최대 행복을 줄 수 있는 사람이 가져야한다.

- 자유지상주의자: 가장 능력있는 사람이 가져야한다.

- 롤즈 : 최소 수혜자에게 최대 혜택들 줄 수 있는 사람에게 줘야한다.

- 맑스: 가장 필요한 삶에게 줘야한다. 기준이 없다.^^

- 아리스토텔레스 : 가장 탁월하게 연주할 때 바이올린은 그 존재의 목적을 실현한다.


<플라톤 vs 아리스토텔레스>

- 그리스와 아테네가 협력하여 쳐들어온 페르시아를  무찌름

- 그러나 이후에 동맹이 깨져서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싸움 (펠로폰네스 전쟁)에서 스파르타가 이김

- 플라톤은 정통 아테네 사람이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변방 마케도니아 출신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이원론              일원론

이상주의           현실론

4주덕                중용


             아리스     (중용을 강조함)

완지       지혜       무지

만용       용기        비겁

사치       절제         궁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