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회비용>
- 미시경제학에서 제일 처음에 배우는 것이 기회비용이다.
1776년 - 미국독립전쟁, 아담스미스 국부론, 정조(세종, 정조는 조선 최고의 왕) 집권
GDP - 한국 1000조, 일본 6000조, 미국 1경 6000조
<고전경제학>
- 멜서스(인구는 기하급수적, 식량은 산술급수적 증가한다.)
- 리카르도(노동가치설)
- 고전경제학의 문제점 : 양적연구만 하다보니 질적 연구에 취약함 -> 합리적인간 강조 But 인간은 합리적으로 행동하지 않을 때가 많다.
<기회비용 vs 편익>
기회비용: 어떤 하나를 선택함으로서 잃을 수 있는 가치 중 가장 최고의 것
- 공기: 기회비용이 없다. -> 자유재
- 기회비용 : 명시적 비용 + 암묵적 비용
- 매몰비용 강조 : 기존에 투자했던 것이라도 합리적으로 판단했을 때 계속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경우 포기함. 매몰비용 처리 ex) 4대강 등
- 기펜재 : 가격내려가도 소비가 증가하지 않음 ex) 연탄, 고무신
- 열등재 : 소득이 올라가도 소비가 떨어짐 ex) 라면
- 위풍재(베블렌재): 가격이 올라가도 소비가 증가함 ex) 명품
- 마르크스 : 생산자로 계급을 구분
- 베블린: 소비에 따라 계급을 구분
-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ex) 김태희와 키스
- 한계효용 체증의 법칙 ex) 고층빌딩 건축
-> 처음에는 한계효용 체감이 진행되다가 나중에는 한계효용이 체증한다.
<선진국의 필수요소>
1. 생산성 향상, 기술혁신 -> 소련이 도시화를 잘했지만 생산성 향상 기술혁신을 하지 못해서 선진국 진입 실패했다.
2. 생산요소 투자(자본, 토지, 노동) -> 선진국일 수록 투자하기 힘들다. 이미 도시화가 진행되었으므로
독재(스탈린) -> 도시화 강제 진행 -> 경제성장 (속도가 빠르다, 독재체재하에서.) 그러나 농업분야가 희생당함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진기의 인문학 특강 - 황금과 깡통의 미국경제 1 (0) | 2012.04.07 |
---|---|
최진기의 인문학 특강 - 미시경제학 2 (0) | 2012.04.07 |
최진기의 인문학특강 - 케인즈, 거시경제학의 아버지 (0) | 2012.04.02 |
최진기의 인문학특강 - 마샬, 미시경제학의 아버지 (0) | 2012.04.02 |
최진기의 인문학특강 - 마르크스 자본론 (0) | 2012.04.02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세딕
- 내 이름은 김삼순
- 임승수
- 채널
- YouTube
- 자본론
- 음악중심
- 가상디렉토리
- 최진기의 인문학특강
- 마음으로 만나는 태교
- iis
- 태아는 천재다
- 네이버
- 마르크스
- 김인성
- 김도향
- 우리 결혼했어요
- 태교
- 임신
- MBC
- 태명
- 샵n
- 마당을 나온 암탉
- 무한도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