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투자시 고려사항>
1. PBR - 자산가치, 1 이하
2. ROE - 성장가치, 최소 8은 되야함 10 ~ 15가 될 수 있는 기업을 찾자
3. 주주정책 - 배당 등 주주친화적 정책 구현
위 세가지로 투자 여부 판단해야함
PBR과 ROE의 밸런스
회사의 종류 | PBR | ROE |
장사가 안되는 회사 | 0.5 | 5 |
평범한 회사 | 1 | 10 |
장사가 잘되는 회사 | 2 | 20 |
안전마진을 50% 적용시
회사의 종류 | PBR | ROE |
장사가 안되는 회사 | 0.5 | 10 |
평범한 회사 | 1 | 20 |
장사가 잘되는 회사 | 2 | 40 |
[출처] [PBR과 ROE에 대한 고찰] 2.적정비율 (가치투자연구소) |작성자 비투씨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이를 시장거래가로 가정했을 경우의 PBR
ROE | 1년 후 | 5년 후 | 10년 후 | 15년 후 | 20년 후 |
5%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3 | 1.6 | 2.0 | 2.5 |
20% | 1.1 | 1.9 | 3.8 | 7.4 | 14.4 |
30% | 1.2 | 2.9 | 8.5 | 24.6 | 71.6 |
40% | 1.3 | 4.2 | 17.8 | 74.8 | 315.3 |
ROE가 20% 일 경우 PBR 2 정도면 평균이다
<가치투자연구소 포즈랑, 비투씨 님의 글 모음>
http://cafe.naver.com/vilab/58018
http://cafe.naver.com/vilab/71406
http://cafe.naver.com/vilab/71511
http://cafe.naver.com/vilab/72084
http://cafe.naver.com/vilab/425
http://cafe.naver.com/vilab/426
http://cafe.naver.com/vilab/513
2. 동업하지 못할 기업은 투자도 하지 않는다.
3. PBR 2이하에서만 투자하며 4 이상은 보유하지 않는다.
4. 한 종목에 자본금의 30% 이상 투자하지 않는다.
5. 시황은 무시하고 개별기업에 집중한다.
6. 금리, 유가, 환율등을 예측하려 하지 않으며 결과만 활용한다.
7. 내재가치 대비 50% 이상의 할인률을 지닌 종목만 투자한다.
8. 위험마진은 최대 100%까지만 용인한다.
9. 안전마진은 PBR과 시가배당률에서 나온다.
10. 투자수익은 미래가치에서 나온다.
11. 궁금한것은 주담에게 확인한다.
12. 중위험 고수익보단 저위험 중수익을 추구한다.
13. 최고의 주식은 저PBR + 실적개선(혹은 턴어라운드)
[출처] [PBR과 ROE에 대한 고찰] 1.여러가지 재테크 유형 (가치투자연구소) |작성자 비투씨
<와타미의 투자카페>
http://cafe.naver.com/report4life
<투자전략편>
- Total
- Today
- Yesterday
- 임신
- 스세딕
- 채널
- 자본론
- 김인성
- 태교
- 태아는 천재다
- 샵n
- 마당을 나온 암탉
- 태명
- 김도향
- MBC
- 최진기의 인문학특강
- 무한도전
- iis
- 음악중심
- 임승수
- 우리 결혼했어요
- 가상디렉토리
- 마르크스
- 마음으로 만나는 태교
- 내 이름은 김삼순
- 네이버
- YouTub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