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가치투자 전략

untitle4me 2017. 11. 23. 09:41

<투자시 고려사항>


1. PBR  - 자산가치, 1 이하

2. ROE - 성장가치, 최소 8은 되야함 10 ~ 15가 될 수 있는 기업을 찾자

3. 주주정책 - 배당 등 주주친화적 정책 구현


위 세가지로 투자 여부 판단해야함


PBR과 ROE의 밸런스


회사의 종류PBRROE
장사가 안되는 회사0.55
평범한 회사110
장사가 잘되는 회사220

 

안전마진을 50% 적용시 


회사의 종류PBRROE
장사가 안되는 회사0.510
평범한 회사120
장사가 잘되는 회사240


[출처] [PBR과 ROE에 대한 고찰] 2.적정비율 (가치투자연구소) |작성자 비투씨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이를 시장거래가로 가정했을 경우의 PBR

ROE

1년 후

5년 후

10년 후

15년 후

20년 후

5%

1.0

1.0

1.0

1.0

1.0

10%

1.0

1.3

1.6

2.0

2.5

20%

1.1

1.9

3.8

7.4

14.4

30%

1.2

2.9

8.5

24.6

71.6

40%

1.3

4.2

17.8

74.8

315.3



ROE가 20% 일 경우 PBR 2 정도면 평균이다





<가치투자연구소 포즈랑, 비투씨 님의 글 모음>


http://cafe.naver.com/vilab/58018 


http://cafe.naver.com/vilab/71406  


http://cafe.naver.com/vilab/71511  


http://cafe.naver.com/vilab/72084  


http://cafe.naver.com/vilab/425

http://cafe.naver.com/vilab/426

http://cafe.naver.com/vilab/513


□ 요약
1. 금리 1.5%, 임대수익률 4%가 적당한것처럼 주식도 적당한 PBR과 ROE가 있다. (PBR과 ROE는 주식 투자의 핵심지표이다)
2. 10% 예금상품에 의심을 품는 것처럼, PBR 10의 주식에도 의심을 품어야 한다.
3. ROE가 높은 경우 PBR또한 높아도 싼 주식이 있다. PBR과 ROE의 밸런스를 고려해서 싼 주식을 찾아야 한다.
4. 실제 PBR과 ROE에 대한 고찰은 다음편에..^^

※ 참고하시라고 블로그에 적어놨던 제 투자 원칙도 한번 공유해봅니다.
1. 이해할 수 없는 분야는 투자하지 않는다. 
2. 동업하지 못할 기업은 투자도 하지 않는다. 
3. PBR 2이하에서만 투자하며 4 이상은 보유하지 않는다. 
4. 한 종목에 자본금의 30% 이상 투자하지 않는다. 
5. 시황은 무시하고 개별기업에 집중한다.
6. 금리, 유가, 환율등을 예측하려 하지 않으며 결과만 활용한다. 
7. 내재가치 대비 50% 이상의 할인률을 지닌 종목만 투자한다. 
8. 위험마진은 최대 100%까지만 용인한다.
9. 안전마진은 PBR과 시가배당률에서 나온다.
10. 투자수익은 미래가치에서 나온다.
11. 궁금한것은 주담에게 확인한다.
12. 중위험 고수익보단 저위험 중수익을 추구한다.
13. 최고의 주식은 저PBR + 실적개선(혹은 턴어라운드)


<와타미의 투자카페>


http://cafe.naver.com/report4life



<투자전략편>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